패턴 178 :
I’ve got to ~.


|
1. | I’ve got to go. | : | 나 가봐야 해. |
2. | I’ve got to make the deadline. | : | 마감 시간에 맞춰야 해. |
3. | I’ve got to tell you something. | : | 이야기 할 게 있어. |
4. | I’ve got to take off right now. | : | 지금 바로 출발해야 해. |
5. | I’ve got to check my schedule. | : | 내 스케줄 좀 확인해봐야 해. |
6. | I’ve got to get him off my mind. | : | 난 그를 잊어야 해. |
7. | I’ve got to try that. | : | 그거 한번 해봐야겠어. |
8. | I’ve got to teach him a lesson. | : | 그 애에게 쓴맛 좀 보여줘야겠어. |
I’ve got to ~
“have got to”라는 표현은 “~해야 한다”라는 “have to”와 형태나 의미 모두 거의 비슷하답니다. 일반적으로 “I have got to ~”는 “I’ve got to ~”로 줄여서 사용됩니다. “have got to”와 “have to”의 형태상의 차이를 꼽아보라면, “have to”에서 “have”는 조동사일 수도 있고 일반 동사일 수도 있는 반면, “have got to”에서 “have”는 조동사로만 사용될 수 있다는 점입니다. 의미상의 차이를 꼽아보라면, 반복적으로 해야 하는 일에 대해서는 “have got to”를 사용하는 경우가 드물다는 것입니다. 즉, 반복적인 일에 대해서는 “have to”를 사용합니다.
“have got to”라는 표현은 “~해야 한다”라는 “have to”와 형태나 의미 모두 거의 비슷하답니다. 일반적으로 “I have got to ~”는 “I’ve got to ~”로 줄여서 사용됩니다. “have got to”와 “have to”의 형태상의 차이를 꼽아보라면, “have to”에서 “have”는 조동사일 수도 있고 일반 동사일 수도 있는 반면, “have got to”에서 “have”는 조동사로만 사용될 수 있다는 점입니다. 의미상의 차이를 꼽아보라면, 반복적으로 해야 하는 일에 대해서는 “have got to”를 사용하는 경우가 드물다는 것입니다. 즉, 반복적인 일에 대해서는 “have to”를 사용합니다.
작성된 글이 없습니다.
로그인 시 글작성이 가능합니다.